승일 22.08.16 회사개요
1. 회사의 개요
주식회사 승일(이하 '회사')는 1978년 12월 26일에 설립되어 에어졸관과 일반관 제관, 에어졸 캔 발브 및 관련제품의 제조판매와 관련된 사업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회사는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본사 및 제조설비를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2001년 1월 18일 코스닥시장 상장을 승인받아 회사의 주식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회사는 설립시 자본금 150백만원 이후 수차의 증자를 거쳐 당반기말 현재 납입자본금은 3,066,056천원이며, 당반기말 현재 주요 주주는 대표이사인 현창수와 특수관계자 등(73.8%) 입니다.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회사의 2022년 6월 30일로 종료하는 6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인2022년 6월 30일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 도입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2.1.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2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5)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2.1.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을 정의하고 공시하도록 하며, 중요성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회계기준 실무서 2 '회계정책 공시'를 개정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 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5)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을 적용한 기업은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
요약반기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유의적 회계정책과 계산방법은 주석 2.1.1에서 설명하는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 및 아래 문단에서 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정책이나 계산방법과 동일합니다.
2.2.1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요약반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COVID-19의 확산은 국내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매출의 감소나 지연, 기존 채권의 회수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사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COVID-19에 따른 불확실성의 변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COVID-19로 인하여 회사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궁극적인 영향은 현재 예측할 수 없습니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반기말전기말
보통예금 | 5,859,353 | 1,733,109 |
정기예금 | 1,000,000 | - |
외화보통예금 | 13,258,614 | 15,508,258 |
계 | 20,117,967 | 17,241,367 |
5. 단기금융자산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단기금융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당반기말전기말
MMF | 863,346 | 7,410,735 |
6.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6-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반기말전기말유동비유동유동비유동
매출채권 | ||||
매출채권 | 31,224,831 | 335,664 | 23,602,791 | 335,664 |
차감: 대손충당금 | (612,888) | (335,664) | (622,877) | (335,664) |
매출채권 소계 | 30,611,943 | - | 22,979,914 | - |
기타채권 | ||||
미수금 | 398,656 | - | 309,315 | - |
미수수익 | 235 | - | - | - |
보증금 | - | 1,721,619 | - | 1,723,144 |
장기대여금 | - | 50,000 | - | 57,143 |
기타채권 소계 | 398,891 | 1,771,619 | 309,315 | 1,780,287 |
합 계 | 31,010,834 | 1,771,619 | 23,289,229 | 1,780,287 |
6-2 상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은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며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6-3 당반기 및 전반기 중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반기전반기
기초금액 | 958,541 | 1,307,923 |
대손상각비(환입) | (9,989) | (200,129) |
기말금액 | 948,552 | 1,107,794 |
6-4 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하며, 당반기말 매출채권의 기대신용손실에 따른 충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만기미도래3개월 이하3~6개월6~9개월9개월 초과계
당반기말 | ||||||
기대 손실률 | 0.01% | 0.01% | 0.12% | 0.55% | 100.00% | - |
총 장부금액 - 매출채권 | 16,568,869 | 13,622,136 | 422,618 | 877 | 945,995 | 31,560,495 |
손실충당금 | 983 | 1,062 | 507 | 5 | 945,995 | 948,552 |
7. 기타유동자산
보고기간말 현재 기타유동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반기말전기말
선급금 | 439,221 | 142,585 |
선급비용 | 71,809 | 224,395 |
부가세대급금 | - | 240,930 |
제세미수금 | 25,014 | 11,531 |
계 | 536,044 | 619,441 |
8. 재고자산
8-1 보고기간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반기말전기말취득원가평가충당금장부금액취득원가평가충당금장부금액
상 품 | 322,348 | (477) | 321,871 | 153,196 | (1,894) | 151,302 |
제 품 | 2,800,862 | (143,619) | 2,657,243 | 2,569,505 | (251,887) | 2,317,618 |
반제품 | 10,750,248 | (422,928) | 10,327,320 | 10,468,466 | (365,615) | 10,102,851 |
원재료 | 8,527,831 | (54,420) | 8,473,411 | 6,977,272 | (13,357) | 6,963,915 |
부재료 | 5,835,327 | (205,064) | 5,630,263 | 4,699,697 | (116,707) | 4,582,990 |
저장품 | 744,856 | - | 744,856 | 736,450 | - | 736,450 |
미착품 | 328,626 | - | 328,626 | 150,046 | - | 150,046 |
계 | 29,310,098 | (826,508) | 28,483,590 | 25,754,632 | (749,460) | 25,005,172 |
8-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인식한 평가손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과 목당반기전반기
매출원가 | ||
재고자산평가손실 | 77,049 | 49,451 |
9. 유형자산
9-1 보고기간말 현재 유형자산 장부금액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반기말 | (단위: 천원) |
구분취득원가감가상각누계액장부금액
토지 | 10,840,537 | - | 10,840,537 |
건물 | 48,739,823 | (10,697,797) | 38,042,026 |
구축물 | 3,807,538 | (1,049,476) | 2,758,062 |
기계장치 | 75,286,319 | (46,167,840) | 29,118,479 |
차량운반구 | 1,509,977 | (1,248,368) | 261,609 |
시설 | 5,881,608 | (2,077,783) | 3,803,825 |
공구와기구 | 6,054,817 | (5,341,109) | 713,708 |
비품 | 1,443,893 | (1,238,894) | 204,999 |
건설중인자산 | 214,612 | - | 214,612 |
사용권자산 | 9,087,065 | (2,612,664) | 6,474,401 |
계 | 162,866,189 | (70,433,931) | 92,432,258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분취득원가감가상각누계액장부금액
토지 | 10,840,537 | - | 10,840,537 |
건물 | 48,739,823 | (10,088,549) | 38,651,274 |
구축물 | 3,744,628 | (951,159) | 2,793,469 |
기계장치 | 75,368,530 | (4 |